본문 바로가기
월탱의 세상살기

공무원 급여, 수당, 연봉, 기여금, 연금에 대한 모든것

by 월탱군 2022. 8. 30.
반응형

공무원 생애소득 정리.xlsx
0.02MB

최근 공무원 급여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최저임금보다 적다는 헛소리부터.

올릴 필요 없다. 삭감해야 한다.

물가는 이렇게 올랐는데.. 사실상 삭감이다.

 

뭐.. 제각각인 사람처럼.

공무원 급여의 적정 수준에 대해서는 제각각 생각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 전에.

그래도 어느 정도 기준이 될 수 있는 정보 자체는 필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그래서 일단 내멋대로 작성해본.. 공무원 생애 급여표..

 

대졸 후 2년 공부해서. 만 26세에 공무원 입직한 것으로 계산하고.

승진은 대략적인 지방공무원 평균 승진소요년수에 맞추어.

9->8 3년, 8->7 4년, 7->6 8년, 6->5 9년, 5->4 9년으로 계산하였다.

(당연히 저렇게 승진이 가능한 사람도 있고 불가능한 사람도 있으나.. 평균으로 해봤다.)

 

포함된 급여 및 수당 항목은.

월급여성으로 본봉, 직급보조비, 식비, 초과근무 기본 10시간, 정근수당 가산금을 포함했고.

연1회성으로 정근수당 2회, 명절수당 2회, 성과상여 1회를 포함했다.

 

물론 사람에 따라 일부 수당이 추가될 수는 있으나..

일단은 최소로 잡아보는 데 의미를 뒀고. 

이거저거 수당을 포함해도.. 특별한 케이스가 아닌 한 월 20~30 정도가 한계일 것이다.

 

추가적인 야근에 의한 초과근무수당 및 출장비는 실비성격/추가근무에 의한 것이므로 본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가라 초근/출장에 대한 것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므로 본 글에서 중요한 논점은 아니다.)

 

또한, 5급 이상은 성과연봉제 전환으로 호봉제가 아니지만.

평균적인 성과 시. 연간인상분이 호봉제와 유사하므로.. 호봉제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이렇게 계산해서.. 정리한 생애 연봉표이다.

26세 9급1호봉 연봉은 약 2,888만원.

60세 4급30호봉 연봉은 약 9,634만원으로 예측된다.

 

호봉에 따라 인상되는 급여는 대략 100여만원 선이다.

적은 금액이긴 하지만.. 지속적인 우상향인 금액이니. 적지만은 않다고 볼수 있다.

 

승진에 따라 인상되는 급여를 보면.

8급 승진 시에 200여만원7급 승진 시 400여만원6급 승진 시 500여만원

5급 승진 시 1,000여만원4급 승진 시 1,300여만원이 되겠다..

상위직급으로 갈 수록 승진에 의한 상승분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생애 총소득과 평균 소득을 계산해보면..

생애 총소득 21억원생애 평균소득 6,000여만원이다..

35년간 일하며.. 연평균 6,000여만원을 받는다는 건... 적다고만 볼 수 없겠다...

 

 

추가로.. 공무원의 꽃이라고 하는 공무원 연금이다.

아래는 35년간의 공무원 연금 납입 금액(기여금) 및 연금 예상액이다.

평균 월급여의 9%를 납입하게 되므로.. 어마어마하다.

실제 4.5%를 납입하는 국민연금에 비해 금액 자체도 크고.

24만원 정도의 최대한계가 있는 국민연금에 비해.. 한계금액이 매우 높은 공무원연금이기 때문에.

끝도 없이 납입하는 금액이 올라간다...

 

이렇게 해서 받는 공무원연금은 대략 얼마일까?

위와 같은 연차 별 연금에 기여하는 분을 모두 더해 보면.

 

납입하는 기여금은 1.9억원. (국가 납입금 포함. 4억여원)

예상되는 연금액은.. 295만원 정도가 되겠다. (연 3600만원)

(물론 나의 계산이 매우 정밀한 것은 아니고. 대략적인 계산이므로.. 이를 고려할 필요는 있다.)

 

만 65세부터 최소 11년 정도는 받아야.. 본전치기가 되는 구조이다. 

복리 등을 고려한 자산 상승을 생각해 보면..

납입금액 대비.. 20년은 받아야.. 즉 85세 정도까지는 받아야.

본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결론적으로...

35년간 연평균 6,000여만원을 벌어.. 총 21억원을 세전으로 벌게되고.

그 중 2억여원을 공무원 연금으로 납입하여

65세부터는 공무원 연금으로 대략 3,500만원의 연봉을 받는 것이..

공무원이 되겠다.

 

9급으로 입직하여. 35년의 직장생활을 보장받고

6,000여만원의 연평균 소득을 받으며.

퇴직 후 65세부터 300여만원의 연금을 받는 공무원...

 

급여가 많은지.. 적은지.. 연금이 적정한지.. 는... 각자의 판단에 맡긴다.

 

반응형

댓글